연구분야
글로벌 김치문화와 발효과학의 중심
World lnstitute of Kimchi

연구분야
2022
-
김치! 비만 개선에 효과…김치의 항비만 원리 세계 최초 구명
김치가 장내 유용 미생물의 증식을 유도해 비만 및 비만에 의한 신경염증을 개선하는 새로운 작용기전 구명
-
초분광 활용 '배추 무름병' 실시간 분석기술 개발
초분광 영상 처리기술 이용해 취득한 분광 정보와 영상 이미지를 활용해 배추 무름 현상을 사전에 예측·진단,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법을 활용해 초분광 이미지 정보 3분 이내 분석(96% 신뢰도)
2021
-
김치가 코로나19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사실 구명
김치에 풍부한 각종 영양성분과 발효과정에서 생기는 유산균이 인체 내 항산화 시스템인 Nrf2와 상호작용하여 코로나19로 야기되는 인체 내 유해한 활성 산소를 제거한다는 사실 구명
2020
-
김치 양념 속 넣기 자동화 장치 개발 및 상용화
김치 생산 자동화의 일환으로 김치 양념 속 널기 자동화 장치 개발 및 상용화 성공시간당 포기김치 생산량 : 장치 사용 (전) 280kg/시 → (후) 2,500kg/시
-
노로바이러스 공기 중 전파 제어 기술 개발
광촉매 기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LED) 처리기술로 노로바이러스 에어로졸 99.9% 제어하여 유전자 분석법 한계 극복
-
글루코시놀레이트 신속 분석법 개발
비색센서(CSA)를 활용해 김치의 쓴맛에 영향을 주는 글루코시놀레이트 10종을 2시간 이내 신속하게 분석하고 정확도 94% 수준의 신뢰도 확보
2019~2020
-
김치 유래 기능성 유산균 개발 및 기술이전
항암, 파킨슨, 지방간, 관절염 개선 효능을 갖는 기능성 김치 유래 유산균 9종 개발 및 기술이전(총 기술료 89억원) 2019년 출연(연) 우수성과 10선
2018~2021
-
산업체 수요기반 종균 적용 공정 개발 및 종균 상용화
김치 맛 향상 종균 개발 및 보급시스템 구축하여, 종균 생산단가 절감(45만원/kg → 7만원/kg), 전국 중소 김치제조업체 59개소에 종균김치 14,779톤 생산할 수 있는 종균 보급 2018년 출연(연) 우수성과 10선 2019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
2018
-
김치 위생 안전성 확보
김치 골마지 생성 원인 효모 분리 및 유전체 분석을 통한 독성 등 위생 안전성 확인, 기존 노로바이러스 유전자 분석법의 단점을 보완한 활성 노로바이러스 감별법 개발
2017
-
김치 발효 대사산물 발견 및 생성 매커니즘 구명
김치로부터 면역조정과 항균활성이 뛰어난 기능성 물질인 히카(HICA) 최초 발견 및 항균활성이 우수한 페닐젖산 발굴, 김치발효가 진행되면서 pH가 내려가 발효 대사물질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증명
-
김치 및 원·부재료 유산균 발효 특성 구명
김치 발효 유도 유산균의 유래 추적 및 유산균의 발효 특성 구명, 김치 유래 유산균 3종의 전장유전체 및 메타전사체를 해독을 통해 발효과정에 따라 김치의 맛과 향이 변화하는 이유 구명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문화진흥연구단
- 담당자 송민지
- 연락처 062-610-1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