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보관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마크 확인하기!
- 2023.02.10
김치, 팩트체크 해썹!?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해썹) 마크 확인하기
한국인의 소울푸드 ‘김치’
김치를 사먹는 소비자가 매년 늘고 있습니다.
2019년 가정에서 직접담금 41.7%, 상품김치구임 15.4%, 기타(부모,친지조달 등) 19.1%
2020년 가정에서 직접담금 23.6%, 상품김치구임 31.3%, 기타(부모,친지조달 등) 43.7%
상품김치 구매 2배 증가
*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2020 김치산업 실태조사]
그렇다면 한국인이 상품김치를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1위는 맛, 2위는 가격, 3위는 원산지로 나타났고,
위생/안전성(HACCP)인증 여부가 낮은 비중의 선택기준으로 조사됐습니다.
맛34.5%, 가격18.3%, 원산지 16.0%, 제조사 10.8%, 위생/안전성(HACCP인증) 9.6%, 국산 원료 사용정도 6.4%
*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2020 김치산업 실태조사]
맛과 가격도 주용하지만, 김치에도 ‘팩트체크’가 필요합니다.
원.부재료부터 식품 생산 과정까지 직접 눈으로 확인하지 못한 배추김치, 과연 안전한지 궁금하시다고요?
김치의 안전을 확인하는 습관, 해썹(HACCP) 마크 하나만 확인하세요!
HACCP 이란?
식품의 원재료에서 제조/가공/유통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위해요소를 분석,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HA 위해요소분석 (원료와 공정에서 발생가능한 병원성 미생물 등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서 분석) + CCP 중요관리점 (위해요소를 예방, 제어 또는 허용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공정이나 단계를 중점관리)
농장부터 식탁까지 식품 안전과 위생을 책임지는 HACCP
국내산 배추김치 : 20008년부터 HACCP 인증 의무 품목 분류
수입산 김치 : 2022년 HACCP 적용 의무화
배추김치는 HACCP 인증 의무 품목!
배추김치의 원료 구입부터 출하까지 위생을 철저히 관리합니다.
1. 원료선별
2. 절임
3. 세척
4. 탈수
5. 양념제조
6. 소넣기/혼합
7. 포장
8. 보관/숙성
9. 출하
세계김치연구소는 김치의 위생/안전을 관리해 여러분의 식탁을 지켜갑니다.
연구 : 김치의 전주기적 품질/안전관리 수준 향상
모니터링 : 상품김치 제조 공정별 위해요소 모니터링
산업지원 : 김치 제조업체의 HACCP 인증 유지를 위한 유효성 검사 (식중독균 검사 등) 및 교육 지원
세계김치연구소 X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식품안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어요.
세계김치연구소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과 지난 5우러 10일 식품안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는데요.
김치 제조 분야의 생산성/품질/안전관리 수전 향상을 위한 스마트HACCP 혁신 모델 구축, 김치류 HACCP 관리 및 스마트 HACCP 보급 확산 등을 공동으로 수행할 예정입니다.
스마트 HACCP이란?
자동화 : 식품안전관리의 시스템화 및 LOT를 통한 모니터링 자동화
데이터송/수신 : 자동화된 모니터링 시설설비로 테이터 수집 및 관리
ICT 융합 :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 자동 기록화 기준 이탈 시 경고 또는 자동 개선 조치
AI/빅데이터 : 인공지능 기술상담 서비스 제공 등 빅데이터 서비스 활용
안전한 제품 생산 신뢰성 증가 – 기록관리 인원 및 관리비용 감소 – 클레임 발생시 근거자료 활용 – 시설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출처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HACCP 관리체계에 ICT 기술을 융합하여 CCP 공정의 모니터링 자동화롤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HACCP 관리 시스템입니다.
#안전을 담다 #안심을 먹다
세계김치연구소는 모든 국민이 안전하고 맛있게 김치를 섭취하는 그날까지! 김치의 A to Z 연구 수행, 스마트 품질 안전관리 기술 등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참고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2020 김치산업 실태조사 분석보고서(2022)]
- 식품의약품안전처 블로그
